본문 바로가기

국내/충청도

홍성 역사유적 추천 1일 여행코스 [홍성여행/홍주아문/안회당/여하정/조양문/홍주의사총/성삼문 선생유허지/최영장군사당/고산사 대광보전/결성동헌/결성향교]

반응형


홍성 역사유적 추천 1일 여행코스
[홍성여행/홍주아문/안회당/여하정/조양문/홍주의사총/성삼문 선생유허지/최영장군사당/고산사 대광보전/결성동헌/결성향교]



홍성이 어디에 붙어 있는지도, 관심도 없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그러기 때문에 그곳에 어떠한 자연이 있고, 어떠한 유적이 있는지도 모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러나 홍성은 만해 한용운과 백야 김좌진장군이 태어난 곳이고, 구한말 나라를 위한 의병의 절규가 서려있는 곳이다.

홍성의 역사유적 중심으로 하루 코스로 일정을 짜보았다.
역사유적을 둘러보는 코스는 홍성의 비경과 알려진 유적지를 방문하는 홍성 8경에 비해서
어쩌면 지루한 일정인지 모르지만,
홍성의 문화와 역사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정리해봤습니다.


[홍성 역사유적 추천 1일 여행코스] - 차로 이동
홍주아문/안회당/여하정 -> (3분(0,5km) -> 조양문 -> (3분(0,9km) ->홍주의사총 -> (17분(5,4km) ->
성삼문 선생유허지 -> (6분(1,0km) ->
최영장군사당 -> (58분(28,5km) -> 고산사 대광보전 -> (13분(3,3km) ->
결성동헌 -> (4분(0,8km) -> 결성향교

 

 

 

 



◆ 홍주아문 ◆

홍주아문은 홍주성에 속한 아문으로 현재는 홍주군청의 입구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 아문 중에서 가장 크다.
또한 조선시대의 관아의 구조와 형태를 살필 수 있다.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함께 세웠는데,
홍성군청에 있는 안회당과 함께 유일하게 남아 있는 조선시대 목조건물이다.

홍주아문의 글씨는 대원군이 사액(賜額)했는데 6.25를 전후해서 없어졌다.
현재의 홍주아문 글씨는 누가 썼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98


홍주아문



홍주아문






◆ 안회당 ◆

홍성군청에 있는 목조건물 안회당은 1678년에 홍주군의 정사당(政事堂)으로 건립하였으며,
홍주목사와 홍주군수가 행정을 집행하는 사무실로 이용하였다.

안회당이라는 이름은 논어(論語)의 ‘노자안지(老者安之) 소자회지(少者懷之)’를 인용한 것으로,
노인들과 젊은 사람 모두를 위해 정사를 펼치겠다는 의미이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98


안회당







◆ 여하정 ◆

여하정은 홍성군청에 있는 정각으로 안회당의 뒤뜰에 위치해 있어 군청 직원의 휴식처로도 이용된다.

1896년(고종 33)에 홍주목사 이승우가 건립하였으며, 연못에 있는 수상정(水上亭)이다.

정각의 평면 형태는 6각형의 형태이고,
6각 기둥에는 시액(詩額) 12현판(懸板)이 붙어 있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98
전화번호: 041-630-1221


여하정



여하정





◆ 조양문 ◆

조양문은 홍주성의 동문이며,
홍성군의 관문으로 고종조에 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석성으로 개축하면서 동서북의 문루로 다시 세웠다.

북문은 망화문, 서문은경의문, 북문은 망화문이라 하였는데, 
조양문은 대원군이 친필로 문액을 하사하였으나, 전란 때 망실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당시 의병과 일본군이 치열하게 전투를 벌인 곳이다.

주소: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196-2


조양문
 




◆ 홍주의사총 ◆

홍주의사총은 조선말기 을사조약이 체결된 후 홍주성에서 일본군에 싸우다 희생된
의병 수백 명의 유해를 모신 곳이다.

1905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에 반대한 의병장 민종식은 1906년 3월 이세영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남포와 보령 등지를 습격,
병기를 탈취하였고 충청 서부지역의 거점인 홍주성을 점령하는 데 성공한다.

5월 25일 일본군이 성을 공격하면서 본격전이 시작되고 의병들은 일본군의 연속적인 공격을 막아내었으나,
현격한 전력의 약세로 성은 함락되고 수백 명의 의병들이 순절하였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124-2
전화번호: 041-633-8733


홍주의사총


홍주의사총

홍주의사총






 

◆ 성삼문선생 유허지 ◆

성삼문 선생의 외가가 있던 곳으로 성삼문이 태어난 집터이다.

선생은 태어날 때 하늘에서 "아이를 낳았느냐"고 세번 물은 일이 있어서
이름을 삼문이라고 하였다.

성산문은 세종 때의 집현전의 학자로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한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1456년에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순절하였다.

숙종2년 읍사이량이 성삼문 선생의 옛집 부근에 사당을 만들고 사육신을
같이 모실 것을 청하자 나라에서 녹운서원이라 하였고 뒤에 노은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1954년 홍성 고적현창회에서는 제단을 보수하고,
해마다 음력 10월 15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전의 제단 자리는 이곳에서 동북쪽으로 약 50m 지점에 있으며,
유허비는 약 30m 거리의 마을 앞에 있다.

최근에 충문사라는 선생의 사당을 건립하였다.

주소: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114-1
전화번호: 041-630-1362

 

성삼문선생 유허지






◆ 최영장군사당 ◆

최영장군은 여진족과 홍건적, 왜구의 침입을 막아내고 요동정벌로 민족의 자존심을 높였으며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의 명언을 남긴
고려말의 명장이다.

노은리는 최영이 출생한 곳으로서 원래의 사당은 노은리 삼봉산정에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이후 1995년 말 삼봉산 중턱에 사당을 재건하였으며,
2007년 진입로 포장과 자연석 계단을 설치하여 새롭게 정비하였다.

사당 건물에는 ‘기봉사(奇峰祠)’라는 현판이 붙어 있고, 내부에는 최영의 위패와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홍성군에서는 1995년 제 1회 최영 장군 영신제를 거행한 것을 비롯하여
2007년에도 대제를 올려 장군의 충의와 공덕을 기리고 있다.

언덕에 위치해 있어 이곳에서 바라보는 목가적인 풍경이 아름답다.

주소: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전화번호 041-630-1221


최영장군 사당






 

◆ 고산사 대광보전 ◆

홍성군 청룡산 동쪽 사면 중턱에 위치한 고산사 대광보전은
조선초기의 건물로 다듬지 않은 주춧돌에 배흘림 양식의 기둥을 세웠다.

정면 3칸, 측면3칸으로 만들어진 팔작지붕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다.

주심포 양식의 건물은 일반적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비해 이 건물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며,
내부의 우물천정을 마련하는 등 주심포 양식과 다포 양식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이채롭다.

주소: 충남 홍성군 결성면 무량리 492
전화번호: 041-642-8254


고산사 대광보전







◆ 결성동헌 ◆

결성동헌은 3채의 건물로 이루어졌으며,
동헌이란 조선시대 관아 건물로 지방수령이 국가 공공의 사무를 다루던 곳이다.
부속건물로는 순교가 지방 치안을 담당한 형방청,
책과 문서를 보관하면서 현감의 자제가 머물었던 책실이 있다.

동헌은 정면 5칸, 측면 3칸 팔작지붕집으로 지붕의 좌우 모양이 균제되지 않은 형상이다.
형방청은 ‘ㄱ’자 평면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지서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책실은 정면 2칸, 측면 1칸반의 우진각지붕집이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318-2



 
결성동헌






◆ 결성향교 ◆

향교는 고려말부터 조선초기에 각 지방에 설립되었던 관립교육기관이다.
결성향교는 고려시대인 1010년(현종 1)에 초창되었다고 전해지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623년(인조 1), 1674년(현종 15), 1808년(순조 8)에 각각 중수한 기록이 있고
1923년에 크게 고쳐지은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

향교의 건물은 구릉지에 세워졌으며,
외삼문 없이 전면에 명륜당(明倫堂)을 두고 뒤에 대성전(大成殿)을 둔 전학후묘(前學後廟)식 배치이다.

대성전에는 중국의 4성 5현과 국내의 18현 위패를 봉안하고 있으며,
경내에는 제기고(祭器庫) 등의 건물이 있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 586


결성향교
 
 
 
 

 

반응형